119안심콜서비스는 나이가 많은 어르신, 질병이 있는 분에게 위급상황 발생 시 맞춤형 응급처치와 병원 이송을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보호자에게 메시지까지 자동 전송되는 이 서비스의 내용과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19안심콜서비스
119안심콜서비스는 혼자 사시거나 나이가 많은 어르신, 장애나 질병이 있는 분들이 미리 신청해 놓으면 위급상황 발생 시 설정한 정보를 바탕으로 119 구급대원이 맞춤형 응급처치와 등록된 병원 이송을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갈수록 1인 가구가 많아지고 부모님과 함께 사는 경우도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더욱 필요한 서비스인 것 같습니다. 한 번 등록해 두면 언제라도 위기 상황이 발생 시 등록된 정보를 통해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나 1분 1초를 다투는 위급상황에서는 이 서비스로 인해 생명과도 직결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연령이 있으신 분들은 반드시 신청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19 안전신고센터 사이트에 들어가 신청을 해야 되기 때문에 인터넷 사용이 익숙지 않은 분들은 대리인을 통한 신청도 가능하니 가족이나 사회복지사 등 주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을 통해 신청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고위험군에 있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남녀노소 누구나 살아가며 어떤 위급한 상황이 생길지 모르기 때문에 등록해 두면 도움이 됩니다.
119안심콜서비스 신청방법
119안심콜 서비스는 본인이 직접 신청할 수도 있고, 대리인을 통해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서비스를 받을 수혜자 본인이 신청할 수 있으면 직접 119안전신고센터 사이트에 들어가셔서 내용을 작성하시면 되고, 대리인을 통할 경우 가입구분 선택에서 '대리인'을 선택하신 후 인증을 받고 진행하면 됩니다,
연락처를 비롯한 개인정보, 병력, 복용 중인 약물, 이용하는 병원과 비상시 연락이 갈 보호자 연락처 등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보호자 연락처는 여러 개 등록할 수 있습니다.
※ 추후 병력이나 주소, 연락처 등 정보가 변경되거나 추가를 할 경우 홈페이지에 갱신을 해주셔야 됩니다.
119안심콜 이용절차
1. 119 안전신고센터에서 본인이나 대리인을 통해 정보를 등록합니다.
2. 등록한 정보는 소방청 안심콜 수혜자 DB에 저장됩니다.
3. 안심콜 대상자의 번호로 119 신고를 합니다.
4. 시·도 소방본부 및 소방서에 사고신고가 접수되면 등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출동한 구급대원이 응급처치 및 병원이송을 시행합니다.
5. 등록된 보호자번호로 메시지가 발송됩니다.
※ 위의 과정으로 119 안심콜이 진행되며, 등록된 수혜자의 번호로 신고해야 구급대원을 통한 조치가 이뤄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119 안심콜서비스에 대한 내용과 신청방법, 이용절차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살아가면서 언제 어디서 위험한 상황이 닥칠지는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이런 서비스에 미리 등록해 놓으시면 언젠가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내 생명을 살릴 기회가 될 수도 있으니 꼭 등록해 놓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부모님과 함께 신청하시면 더욱 좋겠죠?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소상공인 우리동네 선한가게 지원사업 신청 대상 (0) | 2023.05.06 |
---|---|
해외에서 다쳤을때, 재외국민 119응급의료상담 서비스 이용방법 (0) | 2023.04.02 |
EV9 사전예약, 가격, 보조금, 출시일, 주행거리 (0) | 2023.03.30 |
가사랑, 정부 인증 가사서비스로 안심하고 이용하세요. (0) | 2023.03.29 |
서울시 사랑의PC 4천대 보급 선착순 신청 (0) | 2023.03.26 |
댓글